반월상연골손상은 스포츠 활동과 무릎을 과도하게 구부리는 동작, 직접적인 충격 등에 의해 주로 발생하지만, 무릎관절의 퇴행성 변화로도 나타날 수 있다. 나이와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반월상연골손상 환자는 10만 567명으로 2015년 8만4682명보다 약 20% 증가했다. 증상을 방치할 경우 손상 범위가 넓어지면서 퇴행성 무릎 관절염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만약 축구와 같은 스포츠 경기 후 무릎 통증이 이어진다면 전문의를 찾아 진단과 치료에 나서는 것이 현명하다. 거북목 증후군이 나타나는 것을 막으려면 바른 자세로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화면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 고개를 숙이지 않도록 컴퓨터 모니터를 눈높이까지 올려 맞춰야 한다. 그러면 목과 어깨의 긴장을 푸는 데 도움이 된다.